verbose
란 사전적 의미로 “말 수가 많다” 인데요 즉, 상세한 로깅 logging 을 출력할지 말지를 조정하는 parameter 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 4번 cell 에서 verbose 값이 2일 때는 “WARNING: ~~ “하고 문구가 있는데요 밑에 5번 cell에서는 verbose 값이 0이기 때문에 코드 실행 시 “WARNING” 이라고 되어있던 부분이 출력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verbose
값이 0보다 크면 로그를 출력하게되기 때문에 실행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로그 출력이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에 관해서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실제로 제가 Speech to Text 음성 변환 API에 대한 Batch Processing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요 그 작업 중에 오픈소스로 sox라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긴 오디오를 묵음 silence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작게 쪼개는 과정이 있었는데 print 옵션의 여부가 실행 속도 차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컸습니다.

참고로 위의 코드 예시는 https://www.tensorflow.org/tutorials/quickstart/beginner?hl=ko 텐서 플로우 튜토리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