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MS-DOS(FAT) 형식으로 포맷한 이후에 그래도 USB 쓰기가 안 되시는 분들은 위에 첨부드린 지난 포스트를 읽어주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트는 요약하자면,
- MS-DOS(FAT) 형식으로 포맷하지 않고 그래도 NTFS 형식을 유지하면서 USB나 외장하드 쓰기가 가능하게 하고 싶은 분
- 추가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했으나 여전히 쓰기가 안 되시는 분
위 두 가지 상황에 계신 분들을 위한 포스트입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외장하드에 자료가 있는데 이것을 없애버리고 MS-DOS(FAT)으로 포맷을 할 수는 없어서 NTFS 형식은 유지하되 추가 소프트웨어 설치없이 MAC에 자체적으로 있는 Terminal 터미널을 이용해서 파일 쓰기가 가능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이 방법을 썼더니 Finder 환경설정 사이드바 부문에서 외장디스크를 보게 선택해주었는데요 원래 사이드바에서 보이던 외장하드가 보이지는 않더라구요. 그래도 Terminal에서 열어서 쓰기는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런 점 때문에 안전한 방법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는데요 그래도 다른 방법으로 다 해봤는데도 해결되지 않아 급하게 필요하신 분들은 해보시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소프트웨어를 2개나 설치했는데도 NTFS 읽기 전용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아서 Terminal 명령어를 이용한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우선 검색창에서 “터미널”을 치셔서 터미널을 실행시켜줍니다. 그리고 아래 적혀진 명령어를 순서대로 타이핑해서 실행하시면 됩니다.
# 1. usb 명, identifier 명 알아내기
diskutil list
# 2. usb/외장하드 unmount 하기
sudo diskutil unmount <IDENTIFIER 명>
ex) sudo diskutil unmount /dev/disk2s1
# 3. usb/외장하드 명 export하여 매번 치지 않게 저장
export NAME="<usb/외장하드 명>"
ex) export NAME="SAMSUNG"
제 경우는 삼성 드라이버여서 디폴트 이름이 "SAMSUNG" 이었습니다.
# 4. usb에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하기
sudo mkdir /Volumes/$NAME
# 5. usb mount 하기
sudo mount -w -t ntfs -o rw,nobrowse /dev/<IDENTIFIER 명> /Volumes/$NAME
ex) sudo mount -w -t ntfs -o rw,nobrowse /dev/disk2s1 /Volumes/$NAME
# 6. 쓰기가 되는지 검증용으로 샘플 파일(tmp.txt) 작성하기
touch /Volumes/$NAME/tmp.txt
# 7. usb에 저장된 파일 리스트를 불러와서 방금 작성한 파일이 제대로 써졌는지 더블체크하기
ls -al /Volumes/$NAME
# 8. usb/외장하드 디렉토리 열어주기
open /Volumes/$NAME
# 9. 파일 옮기는 작업 종료 후 unmount하기
sudo diskutil unmount <IDENTIFIER 명>
ex) sudo diskutil unmount /dev/disk2s1
이후에 파일을 자유롭게 읽고 쓰기를 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MS-DOS(FAT) 포맷과 다른 점은 5번 step인데요 MS-DOS(FAT)의 경우 mount하는 명령어는 sudo mount -w -t msdos /dev/<IDENTIFIER 명> /Volumes/$NAME
였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sudo mount -w -t ntfs -o rw,nobrowse /dev/<IDENTIFIER 명> /Volumes/$NAME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