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16/2019 SAT 1 Day Hack: Joule Thief

Joule Thief 인데 다 쓴 건전지에 남아있는 잔여 건전지에 남은 에너지를 끌어모아 쓰는 것이라고 한다. 첨단 기술에도 쓰인다고 하는데, 왜냐면 같은 에너지를 내기 위해서 여러 개의 배터리를 연결하면 너무 무거워져서 적은 수로도 큰 에너지를 내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라고 한다.

완전 신기하고, 배우고 싶다.

밋업 주최해주는 분이 다쓴 건전지는 빌려주신다고 해서 아래 준비물을 친절하게 정리해주었다. 여기서 저항기, LED 전구, 트랜지스터를 찾아서 가져가볼 생각이다. 기타 갖고 있는 것도 좀 가져가보려하는데 어디 있는지 찾아야한다. 미리미리 준비하면 되는데 요새 저녁에 약속을 많이 잡아가지고 진작 잘 찾으면 되는데 무튼 찾아서 준비해야한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할 것 같다. 이거 전에 ios to do list app만드는 게 12시에 있어서 적어도 ~~!! 워너비는 아침 7시에 일어나서 아침 든든하게 먹고 그 와중에 스피커 만드는 것 때문에 시도하고 있었던 NOOBS OS 다시 시도해보고 안 되면 정말 window pc에서 window 버전에 맞는 process로 다시 해보려고 한다. 적어도 좀 보다가 가고 싶다. 10시에 나가서 지하철역까지 걸어가서 느긋하게 가고 싶다. 정말 느긋하게 걸어서 가고 싶다 !!

  • 저항기 (220-1000 옴)
  • LED 전구
  • 트랜지스터 (NPN)
  • 콘덴서 (이거는 옵션이다.)
  • 납땜하는 거 (납땜을 한다면)

아래 사진은 나 말고 다른 분 된 거다..내꺼는 코일을 잘못 감아서인지 안 되었다. 애초에 감을 때 깨끗하게 감고 그 선을 잘 벗겨내야하는데 모르겠다 ^_^

NPN형 트랜지스터는 http://makeshare.org/bbs/board.php?bo_table=Parts&wr_id=18 여기에서 잘 설명이 되어있는데, C > B > E 순으로 전류가 흐른다고 한다. C는 컬렉터, B는 베이스 E는 이미터다. 적절한 구멍에 각각 트랜지스터 C, B, E를 잘 꽂아넣는다.

LED에서 다리가 상대적으로 긴 것은 ANODE로 + 짧은 다리가 CATHODE로 – 이다. 긴 다리에 + 를 연결하고 짧은 다리에 -를 연결하면 된다고 한다. https://codingrun.com/55

아..근데 각각의 역할이 머리에 잘 정리되어 있어야 할 것 같다. 트랜지스터, 코일, 배터리 선, LED 전구 + >> – 로 흐르는 흐름들이 자꾸 꼬인다 ㅠㅠ흑흑 그래서인지 tinkercad에서도 만들어보려고 했는데 애매했다. 우선 physical하게 다시 만들어봐야지 빵판에~~

첫브래드보드.jpeg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